반응형
SMALL

자격증 꿀팁 리뷰 103

산업안전기사 실기 교재 추천 (3종류 사용후기)

필답형 41점, 작업형 37점 총점 78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으로 책의 후기를 솔직히 말씀드리는 것이므로 비판은 사양하겠습니다. 미리 말씀드리자면... 이론은 필요 없습니다. 동영상강의도 시간잡아먹습니다. 기출만 죽어라 파면 "기사"수준의 시험까지는 대부분의 시험은 합격이 가능합니다. 영상을 봐주세요~

산업안전기사, 산업기사 필답형 계산문제 3회 100% 출제됨 / 10년치 계산문제 출제빈도 분석 / 13개 공식

> > 2020년 3회차에서 기사, 산업기사 포함 100% 출제되었습니다. 그에 더해서 10년치 계산문제의 출제 빈도를 세어봤습니다. 밥먹을때, 출퇴근시, 똥쌀때, 잠잘때, 설겆이할때, 빨래갤때, 집안일할때, 쓰레기 버릴때, 일하면서 잠깐 쉴때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무한반복하시면 공식 암기하는데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단 공식은 공식일뿐. 실제 문제에 대한 적용, 단위 확인은 더욱 중요합니다. 자동차 조립하면서 와이파이로는 듣지 말아주세요. 차 결함생깁니다.

[산업안전기사 필기] 8일 단기합격 공부과정

위 사진을 클릭하시면 자세한 공부방법 영상으로 이동합니다. 2주 계획으로 준비한거였는데 어쩌다보니 공부할 시간이 8일밖에 없더라고요. 시험은 6월 7일이었습니다. 살다보면 계획대로 되지 않을때도 있죠 뭐... 더 열심히 하면 되니깐. 시험 보시는분들은 여유를 갖고 공부하시는게 좋아요. 급하게 공부하다보니 스트레스받아서 정수리탈모가 심해졌습니다. 탈모때문에 실기를 준비할까말까 지금도 고민중입니다. 지속적으로 필기 및 실기 요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독학으로 기능장까지 7강 : 연습하며 기록한 개인 노하우 공개 (에너지관리기능장 실기 작업형)

> > 에너지관리 기능장 실기시험시 마무리를 위한 개인적으로 정리하며 실기 시험을 위해 정립한 기준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론 제 기준으로 치수부터 발끝까지 수정에 오차를 감안한 것이므로 모두에게 공통적인 것은 아닙니다. 무작정 연습하지 마시고 어느 배관사이즈에서는 길이가 생각보다 길었다던지 치수계산할때 어디에서 조금 더 몇밀리미터를 빼야겠다던지 하는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나가시면 합격에 좀 더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눈으로만 봐서는 절대 합격할수 없습니다. 참고하시길!! 합격을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작업형 실기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관리기능장 실기 / 가스기능사 / 배관기능장 [독학으로 기능장까지 6강- 플랜지 용접 주의사항 5가지]

https://youtu.be/cpmYDTLDQH4 에너지관리기능사/에너지관리산업기사/에너지관리기능장/배관기능장 실기시험 관련 독학으로 공부한 이론을 정리하였습니다. 영상의 내용들은 요령이 될수도 있고 노하우가 될수도 있습니다. 작업형 실기시험 관련 플랜지 용접에 도움이 되는 방법을 다섯가지 알려드립니다 용접 초보이신 분들은 설명을 꼭 자세히 들어두세요!!

독학으로 기능장까지 5강 : 작업시간 단축방법 : 탁상바이스 vs 파이프바이스 (에너지관리기능사 작업형 실기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관리기능장 / 가스기능사 / 배관기능장)

https://youtu.be/-CUVInivfXc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튜브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에너지관리산업기사/에너지관리기능장/배관기능장 실기시험 관련 독학으로 공부한 이론을 정리하였습니다. 실제로 시험볼때 정말 필요한 주의사항과 저의 경험상 작업시간 단축방법을 다뤘으므로 자신에게 맞는 바이스를 곰곰히 따져보세요!!!

독학으로 기능장까지 4강 - 누수없는 나사산 만들기 : 에너지관리기능사 실기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실기 / 에너지관리기능장 실기 / 가스기능사 실기 / 배관기능장 실기

https://youtu.be/r9plB-y6auQ 배관 나사산을 깔끔하게 깎아내야 수압시험에서 누수가 없습니다. 이가 빠졌다거나, 우그러질 경우 누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시험장의 상황과 대처방법, 제가 시험볼 당시의 주변 경험담을 토대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기능장 기준으로 설명을 하였으므로 작은 구경의 배관만 시험에 나오는 기능사의 경우 시험범위가 아닌 구경의 배관에 대한 설명은 알고만 계시면 됩니다. 아는것이 힘입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실기, 에너지관리기능장, 배관기능장,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가스기능사 모두 포함이 되는 사항입니다

독학으로 기능장까지 3강 -누수없이 테프론감는법 전매특허 공개!! 에너지관리기능사 실기/에너지관리산업기사 실기/에너지관리기능장 실기/가스기능사 실기/배관기능장 실기:

https://youtu.be/Fg3SFysXUSQ 위 주소를 클릭하시면 유튜브 영상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기능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에너지관리기능장, 배관기능장, 가스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실기시험 관련 독학으로 공부한 이론을 정리하였습니다. 영상의 내용을 꼭 따라하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여러분이 판단하셔서 괜찮다고 생각하신다면 저의 노하우와 요령을 습득하여 시험에 사용하시면 되는겁니다. 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ㅋㅋ 특히 초보이신 분들을 위해 테프론테이프 감는 방법을 자세히 담았습니다. 물론 저만의 요령과 꿀팁도 포함했습니다 테프론테이프 감는 횟수가 8~10회라는 분도 계시고 12~14회라고 하시는분도 계신데요 저는 실제 시험볼때 저만의 전매특허를 이용하여 10번정도 감은것 같습니..

반응형
LIST